독립유공자 유족지원
청산리대첩의 숨은 영웅, 나비장군 나중소 장군 손녀 나영자님
- 등록일
- 2019.07.19
- 조회수
- 3,181
나중소 선생의 손녀인 나영자 할머니의 어린시절의 기억은 늘 눈물이 마를날이 없다고 합니다. 할아버지가 현상수배범으로 일본군에게 찍히는 바람에.. 매일 집을 찾아와 부모님과 가족들을 괴롭혔다는데요. 마음고생과 몸 고생을 한 탓에 아버지는 병을 얻어 일찍 돌아가셨고… 장녀인 나영자 할머니가 가족들의 생계를 책임질 수 밖에 없었습니다. 오직 먹고 살기 위해 여자의 몸으로 힘든 일까지 다 떠안고 살았다는데요.
“내 비록, 먹지도 입지도 못하더라도 끝까지 싸워 빼앗긴 내 조국을 찾겠소!”
나비장군이라 불린 나중소 선생은 1907년 정미7조약으로 군대가 해산되자 만주로 망명해 군인 양성소 사령관으로 활동했습니다. 1920년에는 김좌진장군과 함께 청산리 전투를 우승으로 이끈 숨은 영웅이었지만 해방전 현상수배범으로 낙인이 찍혀 도망자로 살 수 밖에 없었습니다. 하지만 독립운동은 놓을 수가 없기에.. 승려로 위장한 채 가족들과 연락을 끊고 숨을 거둔 그 순간까지 독립운동을 하며 살아 갈 수 밖에 없었습니다.
"독립운동 정신으로 살다보니… 내 평생 가장 큰 선물을 받았습니다."
비록, 사는게 힘들고 눈앞이 깜깜할 정도로 앞이 보이지 않아도 나중소 할아버지가 평생을 독립운동 한 것 처럼 독립운동 정신으로 평생을 가족을 위해 열심히 일을 하며 사셨다고 합니다. 그렇게 평생을 살다보니 나영자 할머니의 몸 상태는 연골이 다 닳은 무릎과 휘어져 굽은 허리…치료가 시급했습니다.
나영자님의 몸 상태는 허리, 목, 무릎까지 이미 퇴행화가 많이 진행된 상태였습니다. 3개월 간 약침과 침 치료로 굳은 허리근육과 염증을 풀어주고 틀어진 골반을 바로 잡는 추나요법과 함께 한약치료가 병행됐습니다.
목동자생한방병원 정벌 병원장 SAY
자생한방병원에 근무하면서 독립유공자 유가족 분들을 치료하기는 처음이고 뜻 깊고 보람됩니다.
나영자님이 늘 하시던 말씀이 있으셨습니다.
본인보다 더 어렵게 생활하고 있는 다른 독립유공자 가족들이 치료 받을 수 있는 기회가 있었으면 좋겠다..라고 말씀하셨는데요.
독립유공자 유가족답게 모든 생각에 희생정신이 깃들어 있어 저 역시 감동을 많이 받았습니다.
긍휼지심을 발휘해 나영자님의 허리와 목 무릎의 상태가 나빠지지 않도록 치료하겠습니다.
독립운동가 나중소(1867~1928) 운동계열 : 만주방면 포상정보 :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 추서 공적개요 : - 1919년 10월 서일. 김좌진 등과 대한군정서 조직 - 1920년 2월 ㅐ한군정서 사관연성소 교수부장으로 활동 - 1920년 9월 사관연성소 졸업생으로 구성된 교성대 대장 역임 - 1920년 10월 백운평전투와 천수평전투에 참전하여 청산리대첩에서 일본군 격파 - 1925년 3월 신민부 참모부위원장 겸 검사위원 / 자생의료재단ㆍ자생한방병원은 독립유공자와 유족 의료 지원을 통해 독립운동 정신 계승에 앞장서고 있으며, 독립운동가 나중소 선생의 손녀 나영자님의 건강은 목동자생한방병원 정벌 병원장님이 보살피고 있습니다.